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맹랑한 문답

타임머신

by topkorea 2021. 6. 29. 21:22

본문

728x90


 맹랑한 문답
 
 
어느 날. 평양감사가 이방의 재치를 시험해 보려고 대동강으로 함께 나가서 물에 떠 있는 오리를 보고 「"저 오리는 십리를 가든지 백리를 가든지 언제나 오리라고만 하니 무슨 이치인가?"」
 
그러자, 이방의 말인 즉 「"할미새는 어제 나도 할미새, 오늘 나도 할미새라 하니 그 이치는 무엇입니까?"」 하고 이방이 반문하거늘 감사는 내심으로 보통이 넘는 맹랑한 이방이라고 생각하고서 「"새장구는 다 낡아도 밤낮 새장구라고 하니 그것은 무슨 이치이겠는가?"」
 
그러자, 「"사또께서는 북(鼓)은 동에 있으나, 서에 있으나 항상 북이라고만 하는 이치를 아시겠습니까?"」
 
그 말을 들은 사또는「"창(槍)으로 창(窓)을 찌르면 그 구멍을 창(槍)구멍이라고 하는가, 창(窓)구멍이라 하는가?"」 하니, 이방의 말인 즉「"사또님, 눈 오는 날에 눈(雪)이 눈에 들어가 눈(眼)물을 흘리면 눈(眼)물이라 하겠습니까, 눈(雪)물이라 하겠습니까?"」
 
                                                                                                            
 
 
 깎아야 제 맛
 
 
어느 선비가 서울에 올라와 사동에다 하숙을 정하기로 했겠다.
 
그런데, 시골 사람이 서울에 가면 무엇이든지 절반씩 에누리를 해야만 속지 않는다는 말을 귀가 아프게 들었던지라.
 
이 어리석은 선비가 겉 약은 체하느라고, 먼저 주인장에게 수작을 걸어 말하기를
 
「주인장은 성씨가 뉘시오?」
 
「난, 한 서방이외다.」
 
「한 서방이라. 그럼, 우리네 셈으론 반 서방이구먼. 거 성씨 한번 기묘하다. 그래 이 동네는 무슨 동네라 하오?」
 
「사동이라 하오.」
 
「사동? 그러면 이동인 게로고.」 들으면 들을수록 이 시골 선비의 얘기가 이상한지라 이번엔 주인이 물었다.
 
「그럼, 선비는 어디 사시오? 그리고 성씨는 어찌 되시오.」
 
「나 사는 데가 어디냐고요? 사천 사오, 그리고 남이 날 부르기는 십이 서방이라 하지요.」
 
「사천이라면 경상도 사천 말이요? 그런데 십이 서방이란 것도 있나?」
 
「내가 살기는 경기도 이천 땅에 사오. 그리고 내 성은 에누리를 빼고 말하면 육 서방이요.」
 
                                                                                                            
 
 
 지독한 거짓말
 
 
어느 날.
 
스님이 시골길을 걷다보니 저 건너편에 세 사람의 농부가 밭둑에 앉아서 무어라 시끄럽게 떠들고 있기에 스님은 이상하게 생각하고 가까이 다가가자.
 
그 가운데 한 사람이 스님께 말을 건넸다.
"스님, 마침 잘 오셨습니다. 사실은 지금 이 길에서 돈 백 냥을 주웠는데, 제일 지독한 거짓말을 하는 자에게 이 돈 백 냥을 몽땅 주려고 하던 참입니다. 그러니, 스님께서 심판관이 좀 되어 주십시오."
 
그러자, 스님은 위엄을 갖추며 대답하기를 "나무아미타불, 그건 좋지 못한 일입니다. 거짓말을 하다니 될 말인가요? 나로 말할 것 같으면 이 세상에 태어나 아직까지 단 한번도 거짓말을 해본 적이 없소."
 
스님의 말을 들은 세 사람은 입을 모아서 "어이구, 손들었다. 스님, 이 돈은 모두 스님 것입니다." 하며 돈 자루를 내밀자. 이를 받아든 스님은 관세음보살을 연호하며 유유히 사라지는 것이었다.
 
                                                                                                          
 
 
 호장(戶長)의 걸작 답변
 
 
조선 광해군 때.
 
이조판서를 지낸 송언신(宋言愼)은 어찌나 여자를 좋아했던지, 그가 늘 하는 말이「내 평생에 무슨 짓을 해서든지 기필코 계집 천 명은 채우리라.」하고 그는 명색이 치마를 두른 여자라면 닥치는 대로 야욕을 채우기에 바빳다.
 
그러던 중. 송언신이 강원도 관찰사로 부임하게 되었는데,  원주에 이르니 공교롭게도 공관(公館)이 불에 타버렸으므로, 고을 호장(戶長)의 집에서 하룻 밤을 묵게 되었다.
 
그런데, 호장의 딸이 워낙 미인인지라, 송언신은 문득 다른 마음이 생겨 그 처녀와 어머니가 자는 방을 미리 알아두었다가 깊은 밤중에 몰래 기어들어 갔다. 그러나, 처녀가 여간 맹랑한 여자가 아니라서 관찰사의 눈치를 미리서 알아차리고 슬그머니 어머니와 잠자는 방을 바꾸어 버린 것이다.
 
이렇게 되니 불의의 변을 당하게 된 것은 호장의 아내였다. 호장의 아내는 다급해서 「도둑이야!」 하고 소리를 지르니, 송언신은 「나는 도적이 아니오 관찰사요.」 하고 입을 틀어막으며 치마를 벗기거늘 호장의 아내는 어쩔 수 없이 일을 당하고 말았다.
 
훗날. 이 소문이 온 고을에 퍼졌고, 어느 날. 호장이 같은 마을 사람과 싸움을 하는데 「제 여편네를 관찰사한테 빌려준 못난 놈아!」하고 욕을 하자. 호장이 냅다 하는 말이 걸작이었다.
 
「그래. 내 여편네는 인물이나 잘 났기에 관찰사의 눈에 들었지만, 못난 네 여편네 따위야 관찰사가 거들떠보기나 할 줄 아니.」하는 것이었다.
 
                                                                                                            
 
 
 선비 옹기 장수
 
 
어느 선비가 어찌나 가세가 가난하였던지 견디다 못한 부인이 장사라도 하기를 권했다.
 
「남들은 옹기 장사를 해서 배불리 먹고삽디다. 그러니, 당신도 한번 해보구려.」
 
「내가 옹기 장사를?」
 
부인이 패물까지 처분하여 밑천을 마련해 주었으므로 선비는 부인이 시키는 대로 곧장 저자에 나가서 옹기 한 짐을 사서 지고 집에 왔다.
 
그러자, 부인이 중의 하나를 더 꺼내 주면서
 
「만일에 돈 대신 곡식을 주는 사람이 있으면 이 중의를 벗어 아래를 묶어 가지고 담아 오세요.」하는지라, 그러마 하고서는 먼 마을로 나가 「옹기 사시오. 옹기 사! 옹기를 살터이면 중의를 벗고 사시오.」하고 큰 소리로 외치는 것이었다.
 
자기로서는 옹기를 사는 사람이 곡식을 준다면 중의를 벗어서 담겠다는 뜻으로 한 말이지만, 남이 듣기에는 매우 괘씸하게 들려 한 사내가 쫓아 나오면서 「이놈아, 지금 뭐라 했어?」 하고 덤벼들자.
 
선비는 무서워서 옹기 짐을 내동이 치고서 어느 논둑 밑에 숨어 있는데, 마침 그 앞에 개구리 한 마리가 자기처럼 가슴을 발딱 발딱거리며, 선비를 쳐다보고 있었다.
 
그러자, 그 선비는 「개굴아, 너도 옹기 팔러 갔더냐?」 하고 물으니까.
개구리가 대답 할 리 있나. 가만히 쳐다보고만 있으니까.
 
「이런, 못된 놈이 어째서 어른이 묻는데, 대답이 없느냐?」하고 흙덩이로 때리니까. 개구리는 재빨리 달아나는 것이었다.
 
그러자. 그때서야 손바닥을 떨면서 「이놈아, 진작 깨 팔려 갔다가 쫓겨왔다 할 것이지, 괜히 나한테 맞지 않았느냐!」

 

728x90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