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굶는 단식 오히려 체중 증가 원인

대한민국 건강 정보

by topkorea 2024. 8. 18. 18:44

본문

728x90

굶는 단식 오히려 체중 증가 원인

감기단식이란 생명유지에 꼭 필요한 물과 전해질을 제외하고는 
일정기간 열량이 있는 음식물을 먹지 않는 것으로 안전하게 시도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야 하는 방법이지만, 장기간 할 경우 생명에 위험을 느낄 만큼 조심해야 합니다.

위나 장 같은 소화기관이 쉴 수 있도록 해서 소화나 흡수 기능을 새롭게 함과 동시에 
체내에 쌓여있는 노폐물을 배출시키고, 면역력과 저항 강화시키는데 
도움을 준다고는 하지만 영양결핍과 뇌손상을 일으켜 기억력 저하 현상이 발생 합니다.

말하자면 각종 성인병 같은 질환의 치유나 강인한 정신력, 
그리고 우리 몸이 지고 있는 자연 치유력을 극대화시켜 
건강한 신체기능을 유지하게 한다는 것을 목표로 운동을 해야 합니다.

하지만 단식으로 체중감량을 한다는 것은 극도로 에너지 섭취를 제한하는 방법으로 
초기에는 감량의 정도가 크지만 이 중 50% 이상이 수분배설에 의한 것이고, 
모든 영양소의 섭취가 부족하게 되므로 체중감량을 하는 목적인 체지방의 감소뿐 아니라 
전해질이나 체내 단백질의 소모량이 매우 적으므로 
저혈압이나 통풍, 담석증, 케톤증과 같은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는 위험한 도전입니다.

단식은 실시 이후에 체중이 다시 증가하는 정도가 높은데, 
단식을 하게 되면 체내 수분이나 체내단백질, 체지방의 소실 되면서 
그 결과 기초대사율이 떨어지게 되고, 우리 몸이 단식을 하고 있는 상황을 위기상황으로 인식하고 
열량소모를 최소화하면서 비축된 지방은 최대한 아껴서 사용하려 합니다.

단식으로 체중을 감소시킨 후에 이전의 정상적인 식사습관으로 다시 돌아갈 경우 
단식을 시도하기 이전보다 근육량은 감소되었고, 기초대사율도 상당히 낮아진 상태로 
기본적인 에너지 소비가 줄어들게 되므로 이전과 같은 열량을 섭취한다고 하더라도 체중이 증가하게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단식은 전문가의 도움을 받지 않고 임의로 시행했을 때 부작용의 위험이 크고, 
초기에 급격한 감량효과를 볼 수 있지만 장기간 봤을 때 체중감량의 성공률이 낮은 방법으로 
체중감량을 위한 적절한 방법이라고 보기 어렵습니다.

약사는 약사에게 운동은 트레이너에게 배우는 것이 최고의 지름길입니다.



 

728x90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