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미로운 사실을 하나 발견하게 되어서 이렇게 또 포스팅을 하게 됐네요.
여태껏 이러한 정보는 보질 못했는데 우리 사무실에서도 가끔 사용하곤 했는데
이제부터는 조심 또 조심을 해야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차를 한잔 마시거나 달걀을 삶으려고 끓인 물이 많이 남았는데
버리기는 아까운 곤란한 상황에서 다들 어떻게 하시나요?
보통은 그 물을 주전자나 냄비에 그대로 뒀다가 나중에 다시 사용하겠죠?
별 문제 없을 거라고 생각하면서요.
하지만 실은 문제가 있다는 걸 알았네요.
물이 끓을 때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자세히 들여다보면 그 이유를 알 수 있다고 해요.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오는 것은 물론 기포와 수증기겠지만,
이때 눈에 보이지 않는 화학적인 변화도 함께 일어납니다.
같은 물을 여러 번 끓이면 산소 농도가 달라지고, 잠재적으로 위험한 물질들이 축적된다고 해요.
차 맛으로도 그것을 알 수 있다죠.
신선한 물로 우려낸 차와 재탕한 물을 사용한 차는 맛이 하늘과 땅 차이입니다.
물을 끓이면 살균이 되지만, 계속 재탕하면 할 수록 화학적인 구조가 달라지면서
유해 가스뿐 아니라 비소, 질산염, 불소와 같은 유독 성분이 생겨날 수 있습니다.
불소가 뇌와 신경계에 미치는 악영향을 입증한 연구는 한 둘이 아니라네요.
여러 번 다시 끓인 물은 더 이상 식수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칼슘처럼 원래는 인체에 유용한 미네랄 성분이 신장 결석을 유발하는 등의 문제를 일으킬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같은 물을 두번 끓이면 안되고 남은 물은 화분에 주는 습관을 들이면 더 좋다고 하네요.
<옮긴글>
노후를 즐겁게 보내는 법 (50가지) (0) | 2020.08.10 |
---|---|
참기름과 들기름의 효능 (0) | 2020.08.08 |
알면 두고두고 써먹을 식약(食藥) 궁합 (0) | 2020.08.06 |
블랙커피가 몸에 미치는 영향 6가지 (0) | 2020.08.06 |
우리가 몰랐던 올바른 샤워 방법 (0) | 2020.08.01 |
탈모, "빗질만 잘해도 예방할 수 있어" (0) | 2020.07.25 |
집안 냄새 0% 만들기 (0) | 2020.07.18 |
재미나는 상식 (0) | 2020.0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