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변비 종류에 맞는 치료해야 변비 탈출

대한민국 건강 정보

by topkorea 2025. 4. 2. 21:59

본문

728x90

변비는 그 원인과 증상에 따라 종류가 다양하며, 자신의 변비 종류에 맞는 적절한 치료법을 선택하는 것이 변비 탈출의 핵심입니다. 무작정 변비약을 먹거나 민간요법에 의존하기보다는 정확한 진단을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그에 맞는 해결책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주요 변비 종류와 그에 따른 치료 방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서행성 변비 (대장 무력성 / 이완성 변비)

  • 특징: 대장 운동 자체가 느려져서 변이 장을 통과하는 시간이 길어지는 타입입니다. 대변을 보고 싶은 느낌 자체가 잘 들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노인, 임산부, 활동량이 적거나 다이어트를 심하게 하는 경우에 흔히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치료 방향:
    • 식이섬유 섭취: 충분한 식이섬유(채소, 과일, 해조류 등) 섭취로 변의 부피를 늘리고 장 운동을 촉진합니다.
    • 수분 섭취: 하루 1.5~2L 이상의 충분한 물을 마십니다.
    • 규칙적인 운동: 장 운동을 활발하게 하는 유산소 운동(걷기, 조깅 등)이 도움이 됩니다.
    • 약물 치료: 필요한 경우 의사의 처방에 따라 장 운동 촉진제나 팽창성/삼투성 변비약을 사용합니다.

2. 경련성 변비 (과민성 대장 증후군 동반)

  • 특징: 대장이 예민해져서 경련을 일으키며 변의 이동을 막는 타입입니다. 스트레스를 받으면 증상이 심해지는 경향이 있으며, 복통이나 복부 팽만감을 동반하고 토끼똥처럼 작고 단단한 변을 보는 경우가 많습니다.
  • 치료 방향:
    • 스트레스 관리: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명상, 요가, 취미 활동 등이 중요합니다.
    • 식이섬유 조절: 과도한 불용성 식이섬유는 오히려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자극이 적은 수용성 식이섬유 위주로 섭취하고 양을 조절합니다.
    • 규칙적인 식사: 정해진 시간에 식사하는 습관을 들입니다.
    • 약물 치료: 의사의 진단 하에 장의 경련을 줄여주는 진경제나 변을 부드럽게 하는 약물 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저포드맵 식단(Low-FODMAP diet)이 도움이 될 수도 있습니다.

3. 직장형 변비 (출구 폐쇄성 변비 / 배변 장애)

  • 특징: 변이 직장까지는 내려왔지만, 항문 괄약근의 조절이 잘 안 되거나 골반 근육의 문제로 인해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하는 타입입니다. 화장실에 오래 앉아 힘을 주지만 변이 잘 나오지 않고, 배변 후에도 잔변감을 느끼는 경우가 많습니다.
  • 치료 방향:
    • 바이오피드백 치료: 항문 괄약근의 이완 및 조절 능력을 훈련하는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입니다. 센서를 통해 근육의 움직임을 직접 확인하며 올바른 배변 습관을 익힙니다.
    • 골반저근 운동 (케겔 운동): 골반 주변 근육을 강화합니다.
    • 배변 자세 교정: 발 받침대를 사용하여 무릎을 엉덩이보다 높게 하는 자세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약물 치료: 변을 부드럽게 하는 약물이나 좌약 등이 보조적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기타 원인에 따른 분류:

  • 기질성 변비: 대장암, 염증성 장 질환 등 특정 질병이 원인인 경우로, 원인 질환 치료가 우선입니다.
  • 이차성 변비: 약물 부작용(항우울제, 철분제 등), 갑상선 기능 저하증, 당뇨병 등 다른 질환의 영향으로 발생하는 경우로, 원인 약물 조정이나 해당 질환 관리가 필요합니다.

중요:

  • 자가 진단보다는 병원을 방문하여 의사의 정확한 진단(문진, 신체검사, 필요시 대장내시경, 대장 통과 시간 검사, 항문 직장 기능 검사 등)을 받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 변비약은 종류가 다양하며, 장기간 오남용 시 오히려 장 기능을 떨어뜨릴 수 있으므로 반드시 의사와 상담 후 복용해야 합니다.

자신의 변비 유형을 정확히 파악하고 그에 맞는 생활 습관 개선, 식이요법, 필요한 경우 전문적인 치료를 병행한다면 충분히 변비에서 벗어나실 수 있습니다.

728x90

관련글 더보기